부모가 바뀌어야 아이가 산다
부모의 역할을 심판에서 코치·큐레이터·프로듀서로 전환
아이의 학습 주도성을 6단계로 체계적으로 끌어올리기
지식관리 시스템을 일상 학습 루틴으로 도입
오늘 밤 우리 집 AI 규칙 완성하기
"요약해줘"만 반복 → 사고 근육 약화
목표·맥락·제약·평가기준(GCCC)을 먼저 정의
AI가 준 첫 번째 답을 정답으로 간주
질문 생산과 검증 과정 강화
AI와 나눈 대화가 휘발, 학습 전이 실패
Micro-notes + 메타데이터(태그·링크·출처) 즉시 기록
앱 사용법 익히기에 급급
프로세스 표준화 - 도구가 아닌 절차 중심
"알긴 하는데 설명은 못하는" 상태
설명력(Explainability) 루브릭으로 훈련
"기록은 미래의 내가 꺼내 쓸 편지입니다."
"저장되지 않은 정보는 사라집니다."
읽기·보기·경험·대화 다양화
구조화·비교·근거 정리
요약·질문·아티팩트 생산
흩어진 과목·경험 연결 → 질문 씨앗
메타데이터로 통합 (태그, 링크, 출처)
실험, 반례 찾기, 피드백으로 숙성
설명하고 발표하며 다음 질문 생성
가족 대화
생각 시각화
자료 결합
습관 정착
뉴스 시청 → "북극곰은 불쌍한데, 우리 동네 과일 가격에는 어떤 영향이 있지?"
AI 검색 + 다큐멘터리 요약 → #기후변화 #식량안보 태그로 통합
"기후 변화가 장점도 있을까?" 반례 탐색, 농부 입장 분석
저녁 식사 자리에서 "우리 가족 탄소 발자국 줄이는 5가지 방법" 발표
우리 아이는 현재 어느 단계에 있나요? 목표는 5단계 Owner입니다.
AI 결과를 단순히 보거나 복사
기본적인 프롬프트("~해줘") 사용
AI 출력을 단순 편집·요약
결과물 채점, 반례 찾기, 출처 검증
프롬프트 구조, 평가 기준, 데이터 예시 설계
학습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지휘
핵심 습관: AI 답변을 '검토 대상 초안'으로 다루기
핵심 습관: 서로 다른 분야 개념 연결하기
핵심 습관: "설명 가능한 지식만이 진짜 내 지식"
"정답은 학습의 끝이지만, 질문은 학습의 시작입니다."
"세포 분열에 대해 자세히 써줘."
Goal: 중학교 1학년 수준으로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의 차이점 설명
Context: 학교 과학 발표 자료의 핵심 요약으로 사용
Constraints: 표 형태로 비교, 총 300자 이내, 비유 사용
Criteria: 각 분열의 목적, 과정상 핵심 차이 2가지, 결과 포함
사고 과정을 안내하고 메타인지를 활성화
좋은 정보를 선별하고 연결점을 제시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환경을 조성
"정답이네, 똑똑하다!" (결과 중심)
"평가 기준을 3가지나 세웠구나. 반례를 찾으려고 노력한 점이 인상 깊어." (과정 중심)
"프로세스가 도구를 이깁니다. 어떤 앱을 쓰느냐보다, 어떤 절차로 학습하느냐가 중요합니다."
GCCC를 카드 1장에 먼저 작성
프롬프트보다 설계가 우선
Micro-notes(100-150자)로 즉시 기록
메타데이터(#태그, 링크) 활용
스스로 정한 기준으로 채점
유지/변경할 점 1줄 기록
다음 질문 생성
Goal: 초3 동생에게 3문장 설명
Criteria: 물고기와 다른 점 1가지
AI 질문 → 주장(포유류)-근거(허파 호흡)-가정 정리
'물고기 아가미 vs 고래 허파' 비교 만화 한 컷으로 발표
변수 정의: x=면 삶는 시간, y=면의 탄력
3회 실험, 결과 점수 기록 → 그래프 스케치
최적 비율 발견, 실패 사례를 반례로 설명
기사 2개 선정, Criteria: 관점 차이 분석
비교표 작성 → 편향(Bias)과 근거(Evidence) 라벨링
3문단 에세이 작성 (출처 명시 + 반론 1문장)
AI가 만든 요약 5문장 중 1개 오류 삽입 → 아이가 검증하며 찾아내기
같은 이슈를 다루는 다른 논조 기사 2개에 편향 라벨 붙이기
가족 구성원별 최적 라면 조리 그래프 제출 및 근거 설명 대회
오늘 학교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개념 1개 선택
질문 3개 만들기 (Why-How, Counterexample, Transfer)
AI 협업 - GCCC 선언 후 시작
출처 2개 확인, 반례 1개, 요약 5문장
배운 점 공유, Charter 1개 항목 개선
# Family Learning Log (YYYY-MM-DD)
## 1. Topic (오늘의 주제)
-
## 2. GCCC
- Goal:
- Context:
- Constraints:
- Criteria:
## 3. Questions (3가지)
- Q1:
- Q2:
- Q3:
## 4. Evidence & Sources
- S1:
- S2:
## 5. Counterexample
-
## 6. Summary (5문장)
1.
2.
3.
4.
5.
## 7. Self-Assessment (1-5)
- 명확성: /5
- 근거품질: /5
- 출처투명성: /5
## 8. Reflection
- 잘된 점:
- 다음 시도:
## 9. AI 도움 표기
- 사용 부분:
You are my study coach.
Goal: explain [topic] for a 3rd grader in 3 sentences.
Context: I learned [key points] today at school.
Constraints: 120-150 words, simple examples, no jargon.
Criteria: include 2 sources, 1 counterexample,
and a 1-sentence takeaway.
At the end, ask me 2 questions
to check my understanding.
# 질문 12가지 아키타입
1. 비교: A와 B는 어떻게 다른가?
2. 원인-결과: 왜 발생했는가?
3. 가정: 이 주장의 전제는?
4. 증거: 데이터/사실은?
5. 반례: 예외는 무엇인가?
6. 전이: 다른 분야에 적용하면?
7. 윤리: 누구에게 이익/불이익?
8. 데이터: 측정 가능한가?
9. 실행: 예상되는 장애물은?
10. 경계: 적용 범위는?
11. 일반화: 공통 패턴은?
12. 왜/어떻게: 왜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