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진짜 공부법

부모가 바뀌어야 아이가 산다

💡 강사: 구요한 🎯 대상: AI 시대 학부모 ⏱️ 90분 완성
스크롤하여 시작
💬
"정답은 학습의 끝이지만, 질문은 학습의 시작입니다."
🤖
"AI는 강력한 도우미일 뿐, 배움의 주인은 언제나 우리 아이입니다."
📝
"기록하고 연결하는 습관(CMDS)이 AI 시대를 이기는 힘입니다."

🎯 강의 목표

01

역할 재정의

부모의 역할을 심판에서 코치·큐레이터·프로듀서로 전환

02

Agency Ladder

아이의 학습 주도성을 6단계로 체계적으로 끌어올리기

03

CMDS 시스템

지식관리 시스템을 일상 학습 루틴으로 도입

04

AI Charter

오늘 밤 우리 집 AI 규칙 완성하기

🚨 AI 시대 학습 실패의 5가지 함정

🎯

목표 없는 프롬프트

+

증상

"요약해줘"만 반복 → 사고 근육 약화

처방

목표·맥락·제약·평가기준(GCCC)을 먼저 정의

정답 중심 문화

+

증상

AI가 준 첫 번째 답을 정답으로 간주

처방

질문 생산과 검증 과정 강화

📝

기록 부재

+

증상

AI와 나눈 대화가 휘발, 학습 전이 실패

처방

Micro-notes + 메타데이터(태그·링크·출처) 즉시 기록

🛠️

도구 과잉

+

증상

앱 사용법 익히기에 급급

처방

프로세스 표준화 - 도구가 아닌 절차 중심

💬

소통 결핍

+

증상

"알긴 하는데 설명은 못하는" 상태

처방

설명력(Explainability) 루브릭으로 훈련

🔄 패러다임 대전환

정답 암기 가치 있는 질문 설계
앱 중심 프로세스 중심
AI 자동화 인간의 지휘

🧭 지식의 흐름 설계

💡 핵심 원칙: 지식의 밴드위스(Knowledge Bandwidth) 확장

"기록은 미래의 내가 꺼내 쓸 편지입니다."
"저장되지 않은 정보는 사라집니다."

IPO Model

Input

읽기·보기·경험·대화 다양화

Process

구조화·비교·근거 정리

Output

요약·질문·아티팩트 생산

SECI Model

Socialization

가족 대화

Externalization

생각 시각화

Combination

자료 결합

Internalization

습관 정착

📝 실전 사례: "기후 변화의 영향" 탐구

1

Input/Connect

뉴스 시청 → "북극곰은 불쌍한데, 우리 동네 과일 가격에는 어떤 영향이 있지?"

2

Process/Merge

AI 검색 + 다큐멘터리 요약 → #기후변화 #식량안보 태그로 통합

3

Develop

"기후 변화가 장점도 있을까?" 반례 탐색, 농부 입장 분석

4

Output/Share

저녁 식사 자리에서 "우리 가족 탄소 발자국 줄이는 5가지 방법" 발표

🎓 Agency Ladder - 주도성 6단계

우리 아이는 현재 어느 단계에 있나요? 목표는 5단계 Owner입니다.

Level 0

Consumer

AI 결과를 단순히 보거나 복사

수동적
Level 1

User

기본적인 프롬프트("~해줘") 사용

수동적
Level 2

Editor

AI 출력을 단순 편집·요약

수동적
⚡ Critical Threshold - 비판적 사고의 시작
Level 3

Critic

결과물 채점, 반례 찾기, 출처 검증

능동적
Level 4

Designer

프롬프트 구조, 평가 기준, 데이터 예시 설계

주도적

💪 인간 고유의 3대 역량

🧠

비판적 사고

  • 주장-근거-가정 분리
  • 신뢰도 평가
  • 반례 찾기

핵심 습관: AI 답변을 '검토 대상 초안'으로 다루기

💡

창의력

  • 결합과 변형
  • 전이(Transfer)
  • 제약 기반 발상

핵심 습관: 서로 다른 분야 개념 연결하기

❤️

공감·소통

  • 청중 정의
  • 톤/어휘 조절
  • 스토리 구성

핵심 습관: "설명 가능한 지식만이 진짜 내 지식"

🚀 핵심 전략

🎯 전략 1: 질문 설계 시스템

"정답은 학습의 끝이지만, 질문은 학습의 시작입니다."

질문 12 아키타입

🔄 비교
원인-결과
💭 가정
📊 증거
🔍 반례
🔀 전이
⚖️ 윤리
📈 데이터
🛠️ 실행
🎯 경계조건
🌐 일반화
왜/어떻게

🎮 전략 2: AI를 지휘하는 오너 마인드셋

Owner's Mindset 체크리스트 (GCCC) ⭐

조수 vs. 주인 마인드셋 비교

❌ 조수 (Level 1) "세포 분열에 대해 자세히 써줘."
✅ 주인 (Level 5) Goal: 중학교 1학년 수준으로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의 차이점 설명
Context: 학교 과학 발표 자료의 핵심 요약으로 사용
Constraints: 표 형태로 비교, 총 300자 이내, 비유 사용
Criteria: 각 분열의 목적, 과정상 핵심 차이 2가지, 결과 포함

👨‍👩‍👧‍👦 전략 3: 부모의 역할 재정의

🏅

코치 (Coach)

사고 과정을 안내하고 메타인지를 활성화

🎨

큐레이터 (Curator)

좋은 정보를 선별하고 연결점을 제시

🎬

프로듀서 (Producer)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환경을 조성

코칭 대화 4문장 스택

  1. "이번 과제/학습의 핵심 목적이 뭐니?" Goal
  2. "성공 기준은 뭘로 정할까? 어떤 제약이 있을까?" Criteria/Constraints
  3. "첫 번째 시도는 어떻게 해볼 계획이야?" Plan
  4. "결과를 보니 어때? 무엇을 변경하면 더 좋아질까?" Reflect

프로세스 칭찬의 기술

❌ 나쁜 예

"정답이네, 똑똑하다!" (결과 중심)

✅ 좋은 예

"평가 기준을 3가지나 세웠구나. 반례를 찾으려고 노력한 점이 인상 깊어." (과정 중심)

🏗️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가 도구를 이깁니다. 어떤 앱을 쓰느냐보다, 어떤 절차로 학습하느냐가 중요합니다."

📋 우리 집 표준 운영 절차 (SOP)

🎯

시작 전 (Start)

GCCC를 카드 1장에 먼저 작성
프롬프트보다 설계가 우선

✍️

진행 중 (Do)

Micro-notes(100-150자)로 즉시 기록
메타데이터(#태그, 링크) 활용

종료 후 (Check & Act)

스스로 정한 기준으로 채점
유지/변경할 점 1줄 기록
다음 질문 생성

📖 학년별 케이스 스터디

🐋 "고래는 왜 물 밖으로 나와 숨을 쉴까?"

Start (설계):

Goal: 초3 동생에게 3문장 설명
Criteria: 물고기와 다른 점 1가지

Do (기록/검증):

AI 질문 → 주장(포유류)-근거(허파 호흡)-가정 정리

Check (반성/공유):

'물고기 아가미 vs 고래 허파' 비교 만화 한 컷으로 발표

🍜 "가장 맛있는 라면을 위한 1차 함수"

Start (설계):

변수 정의: x=면 삶는 시간, y=면의 탄력

Do (실험):

3회 실험, 결과 점수 기록 → 그래프 스케치

Check (분석):

최적 비율 발견, 실패 사례를 반례로 설명

📚 "동일 사건에 대한 서로 다른 서술"

Start (설계):

기사 2개 선정, Criteria: 관점 차이 분석

Do (분석):

비교표 작성 → 편향(Bias)과 근거(Evidence) 라벨링

Check (생산):

3문단 에세이 작성 (출처 명시 + 반론 1문장)

📜 Family AI Charter v1.0

5대 원칙

  1. 투명성: AI 도움 반드시 표기
  2. 검증: 중요 정보는 2개 이상 출처로 확인
  3. 주도성: 베껴 쓰기 금지,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
  4. 안전: 개인정보, 얼굴, 위치 공유 금지
  5. 균형: 사용 시간 제한 후 아날로그 활동

운영 규정

  • Parent Check (주 2회): AI 표기, 출처 2개, 반례 1개, 자체 채점 확인
  • Recovery Plan (위반 시): 출처 재확인 → 자기 말로 재작성 → 반성 3줄

KPI 대시보드

열린 질문 비율
출처 확인률
반례 탐색률

🎲 재미 장치

🕵️

거짓말 탐정 놀이

AI가 만든 요약 5문장 중 1개 오류 삽입 → 아이가 검증하며 찾아내기

🏷️

Bias 탐정단

같은 이슈를 다루는 다른 논조 기사 2개에 편향 라벨 붙이기

📊

라면 그래프 챌린지

가족 구성원별 최적 라면 조리 그래프 제출 및 근거 설명 대회

⏰ 오늘 밤 20분 루틴

0-3분

Connect

오늘 학교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개념 1개 선택

3-8분

Questioning

질문 3개 만들기 (Why-How, Counterexample, Transfer)

8-12분

Owner Mode

AI 협업 - GCCC 선언 후 시작

12-17분

Develop & Verify

출처 2개 확인, 반례 1개, 요약 5문장

17-20분

Share & Charter

배운 점 공유, Charter 1개 항목 개선

💬 대화 스타터

"이걸 초3 동생에게 3문장으로 설명한다면?"
"이 주장에 반대하는 사람은 뭐라고 말할까?"
"AI 답변 중 가장 불확실해 보이는 문장은?"
"실생활 사례 1개만 붙여보자"
"다음엔 무엇을 바꿀까?"
"너의 평가기준 3줄로 써보자"

⚠️ 흔한 함정과 처방

함정 1: 멋진 프롬프트 = 좋은 학습
✅ Do: 목표와 평가 기준(GCCC)을 먼저 세우세요
함정 2: '정답 맞힘' 결과 중심 칭찬
✅ Do: 과정을 칭찬하세요. 구체적인 시도를 언급하세요
함정 3: 기록 누락으로 인한 학습 휘발
✅ Do: Micro-notes와 태그로 즉시 연결하고 기록하세요

📚 즉시 활용 가능한 리소스

📝 Family Learning Log

# Family Learning Log (YYYY-MM-DD)

## 1. Topic (오늘의 주제)
- 

## 2. GCCC
- Goal:
- Context:
- Constraints:
- Criteria:

## 3. Questions (3가지)
- Q1:
- Q2:
- Q3:

## 4. Evidence & Sources
- S1:
- S2:

## 5. Counterexample
- 

## 6. Summary (5문장)
1. 
2. 
3. 
4. 
5. 

## 7. Self-Assessment (1-5)
- 명확성: /5
- 근거품질: /5
- 출처투명성: /5

## 8. Reflection
- 잘된 점:
- 다음 시도:

## 9. AI 도움 표기
- 사용 부분:

🤖 Owner 모드 프롬프트

You are my study coach. 
Goal: explain [topic] for a 3rd grader in 3 sentences.
Context: I learned [key points] today at school.
Constraints: 120-150 words, simple examples, no jargon.
Criteria: include 2 sources, 1 counterexample, 
         and a 1-sentence takeaway.
At the end, ask me 2 questions 
to check my understanding.

❓ Question Archetypes

# 질문 12가지 아키타입

1. 비교: A와 B는 어떻게 다른가?
2. 원인-결과: 왜 발생했는가?
3. 가정: 이 주장의 전제는?
4. 증거: 데이터/사실은?
5. 반례: 예외는 무엇인가?
6. 전이: 다른 분야에 적용하면?
7. 윤리: 누구에게 이익/불이익?
8. 데이터: 측정 가능한가?
9. 실행: 예상되는 장애물은?
10. 경계: 적용 범위는?
11. 일반화: 공통 패턴은?
12. 왜/어떻게: 왜 중요한가?

✅ 오늘 바로 실행하기 체크리스트

📥 자료 다운로드